A PHP Error was encountered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2디자인치과

보존치료

썩은 부위 제거, 치과 재료로 대체합니다

보존치료란?

신경 치범단계로 넘어가는 것을 예방해 생활력을 유지시켜줍니다

보존치료란 치아에 충치(우식)가 생겼을 때 이 썩은 부위를 제거하고 생체 적합한 치과 재료로 대체하는 술식을 말합니다. 효과적인 보존 치료는 충치가 신경 치범단계로 넘어가는 것을 예방하여 치아의 생활력을 유지시켜 줍니다.
보존 치료의 방법은 그 재료에 따라서 아말감, 금인레이, 레징 인레어, 도재 인레어가 있습니다.

아말감

아말감은 치과계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어졌고, 보험 적용이 되어 저렴하게 널리 쓰이던 재료입니다. 성분으로는 은, 주석, 그리고 수은 등이 포함되어 있고 치료 초기에는 은색을 내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어두워져서 검은색처럼 변합니다.

재료의 단점으로는 정밀도와 인체친화도에서 다소 불리하고 금속 자체가 입안의 수분속에서 부식되므로 점차적으로 치아와의 경계면이 서로 분리되어 이차우식(충시)룰 유질하면서 수명의 문제점이 있고, 보기싫은 색깔로 인한 비심미적인 요소 등이 있다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아말감의 수은 함유량에 대한 논란으로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는 치과재료로 사용하지 않고 있고 미국에서도 현재 사용찬성과 반대가 논란이 되고 있으며 법정 공방을 하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 현재 아말감의 여러 단점을 대체할 만한 치료법에는 레진치료와 금 인레인치료등이 있습니다.

금 인레이

금은 인체친화성이 가장 높은 재료로서, 충치부위를 제거하고 그 부위를 인상채득(본을 뜬다고 하지요)하며 그것으로 모형을 만들고 매꿀 부위에 맞도록 정밀하게 금으로 주조하여 제작한 것으로 치아에 붙여줍니다.

지금까지 가능면이나 강도에서 가장 우수한 치과용 재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워싱턴 주립대학의 터키 박사팀에 의하면 적절히 만들어진 금인레이는 30~40년 동안의 좋은 예후를 보이는 임상보고가 나와있습니다.

레진 인레이

레진은 자연스로운 치아색을 표현할 수 있어 최근 들어 심미적인 재료로서 많이 쓰이는 치과용 재료입니다. 치료방식으로는 두가지가 있는데 직접 치아에 접착하는 방법과 금 제작처럼 인상을 채득(본을 떠서)하여 모형상에서 제작하여 치아를 붙여주는 방법입니다.

충치에 이환된 부위가 소량일 경우 직접 치아에 붙이는 방식을 이용하고 충치가 인접면을 침범하였거나 광범위한 경우에는 본을 떠서 제작하게 됩니다.

장점은 심미적인 우수성이나 단점은 금인레이만큼 장기적인 예후를 갖지 않는다는 것과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입니다.

도재 인레이

도재 인레이는 충치에 이환된 부위를 제거한 후 내에서 본을 뜨고 석고 모델 상에서 도자기를 구워 만드는 방식을 말합니다.
레진 인레이보다 심미적으로 더 우수하고 강도도 더 강하지만 비싼 것이 단점입니다.
Quick Menu